Front20 SemVer가 모든것을 해결해줄까? 주의 1. 이 글은 SemVer(유의적 버전)를 다루는 글이 아닙니다.주의 2. 이 글에서 다루는것은 SemVer의 장/단점이 아닙니다.주의 3. SemVer의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유의적 버전 명세)주의 4. 늘 그렇듯이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객관성을 향하지만 개인, 또 조직의 상황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습니다.주의 5. 이 글이 옳은 내용만을 담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수정이 필요한 내용은 댓글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롤백을 해야하는데 버저닝이 제대로 안되어 있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이벤트와 프로모션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이벤트와 프로모션은 조직의 방향성, 사용자들의 피드백, 또 제한된 예산으로 인하여 배포 후에도 많은 작업들이 더해지고 수정이 빈번하게 발생합.. 2025. 1. 19. 알아도 쓸모없는; Hypertext. 어색하지 않게 한국어로 소개하고 싶었지만 가능하지 않을 것 같은(위키피디아에서 초본문이라고 소개하는) 하이퍼텍스트. 하이퍼텍스트는 문서 안의 하이퍼링크(참조)를 통해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문자를 말한다. html의 ht가 바로 하이퍼텍스트이며 앞서 설명한 내용 보다 html 단어를 봤을 때, 그 의미 파악이 더 쉬웠을 것이다. 1960년대에 테드 넬슨이 하이퍼텍스트라는 개념을 처음 고안했다는 글들이 많이 보이지만 이 개념은 우리가 광복을 맞이하던 해, 1945년, 베네바 부시가 기고한 ’As We Think’에서 메멕스(=MEMory EXtender) 시스템 제안과 함께 시작 되었으며 그것을 테드 넬슨이 하이퍼텍스트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정리했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다. 당연하게도 테드 넬슨은.. 2023. 7. 1. 두개의 물류 센터 오픈을 동시에 지원한 방법 주의 1. 이 글은 소속 회사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주의 2. 이 글에는 늘 그렇듯이 현명함 보다는 멍청함이 묻어 있습니다.주의 3. 선택한 방법과 주장하는 바가 옳지 않을 수 있습니다.주의 4. 위의 이유로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주의 5. 수정할 사항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검증 후 본문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배경가끔 개발자들이 완벽한 프로덕트를 위해 무언가를 늦춰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맞습니다. 가끔은 시간 보다는 품질이 중요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은 충분한 시간이 오히려 적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소속 회사의 사정을 말하는게 아닙니다) 프로덕트, 또는 서비스는, 그 가치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 이윤을 남겨야 하거나 그것을 벌어들이는 도구일 수 밖에 없습니다. .. 2023. 6. 22. [JavaScript] a == 0 && a == 1 은 true가 될 수 있다 if (a == 0 && a == 1) 며칠 전 꽤 흥미로운 짤을 접했습니다. 그냥 지나가는 짤이라 생각하고 별 생각이 없었지만 해당 게시물에 페친분들의 댓글이 계속해서 달리면서 위의 난해한 코드를 직접 구현해 보게 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다뤄본 개발자라면 위 구문의 'a'는 '변수'라고 자연스레 가정할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변수로는 위의 평가를 통과할 수 있는 구문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만약 a가 일반적으로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담는 예측할 수 있는 값이 아니라 프로퍼티라면?? 아마 getter와 setter를 활용하여 해당 값을 담고 반환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window의 프로퍼티로 1. 일반적인 변수 형.. 2021. 1. 16.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Async Defer 주의 1. 이 글은 async / await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주의 2. 이 글에는 멍충함이 묻어있을 수 있습니다.주의 3. 테스트 방법이 잘못됐을 수 있습니다.주의 4. 위의 이유로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주의 5. 수정할 사항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검증 후 본문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의심큰 프로젝트를 앞두고 PoC를 진행하다 기본적인 부분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전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개발해야하는데 평소에 알고있다 생각했던 로딩과 실행에 관한 기본적인 것들을 확인하던 중, 제가 알고있던 사실을, 제가 검증한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스펙을 확인한 후 나름의 환경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script의 async / defer 요소제가 검증하.. 2020. 12. 5.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개정판) :후기 리액트를 배워 보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면서 아직도 접해보지 않았던 이름이 있었습니다. 10에 4명 이상은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요즘에도 조직과 개인적 이유로 리액트 스터디를 미뤄오다 우연치 않은 기회에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을 획득(?!)하여 간단한 후기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 현재까지의 스터디 분량으로 리뷰를 진행하며 책의 전체 리뷰는 완독 후 해당 포스트에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저는 마크업과 UI를 개발하다 AngularJS를 접하며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성장 하였습니다. 처음 접하게 된 프레임워크와 프론트엔드 개발이 이유가 된건지 AngularJS (지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 까먹었어요...) / Angular에 대한 애착이 있었고 토이 프로젝트 혹은 프로토.. 2019. 11. 18. 이전 1 2 3 4 다음